자궁경부암 원인과 예방법, 예방접종 꼭 맞아야 할까?
자궁경부암이란 명칭과 같이 자궁 경부에 암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여성이 걸리는 암 중 2위로 유방암과 더불어 흔하게 발병할 수 있는 질병입니다.
자궁경부암 원인
자궁경부암의 가장 흔한 원인은 인유두종 바이러스(HPV)입니다. HPV는 남녀 모두 감염될 수 있으며, HPV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질병 중 자궁경부암을 제외한 다른 질병은 남성 또한 걸릴 수 있습니다.
HPV는 대부분의 성적 접촉으로 인하여 감염되며, 확률은 극히 낮지만 성 경험이 없는 사람에게도 타인의 수건, 속옷 등을 사용함으로써 감염될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 여성의 HPV의 감염률은 30%이며 20대에서 가장 많은 감염률을 보입니다.
HPV에 감염된 모든 여성에게 자궁경부암이 발생하진 않습니다. 지속적으로 HPV에 감염되거나, HPV에 감염된 일부 여성 중 HPV가 자연 소멸하거나 비활성화되지 않고 지속되어 자궁경부암이 발생하게 됩니다.
자궁경부암 예방법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대부분의 요인이 HPV 때문이기에, HPV의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자궁경부암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HPV는 성적 접촉으로 인하여 감염되는 만큼, HPV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선 건강하고 안전한 성생활을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완벽한 예방법은 아니지만, 성관계에 콘돔을 사용하는 것 만으로 HPV의 감염 확률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다행히 HPV는 백신으로 예방이 가능한 바이러스로, 아직 HPV에 감염되지 않은 사람들은 백신접종을 통해 HPV감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총 3회를 접종하며, 청소년은 2회 접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1회 접종만으로도 97.5%의 접종 효과를 보이며, HPV에 의한 자궁경부암을 예방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평균적으로 나이가 어릴수록 성관계 대상 수가 적기에 HPV백신을 어린 나이에 맞을수록 자궁경부암 발병률을 유의미하게 낮출 수 있습니다. 남녀 모두 청소년기에 맞는 것이 가장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성인의 경우 26세 이전까지 백신접종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또한 권고연령이 아니어도 HPV에 감염되지 않았다면 예방을 위한 접종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HPV에 이미 감염된 경우 다른 종의 HPV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백신 접종을 권하지만 백신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기에 의사와 상담 후 접종을 해야 합니다.
백신을 접종할 경우 백신 종류에 따라 다양한 HPV에 대한 감염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이는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HPV뿐 아닌, 편도암 및 심각한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고위험 HPV 또한 예방할 수 있으므로 접종을 추천드립니다.
HPV는 워낙 광범위하게 퍼져있는 바이러스이다 보니, 전체 인구의 대부분은 한 번 이상 HPV에 감염될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HPV는 감염되어도 평상시 도드라지는 증세가 없기에 현재 감염이 된 상태인지 알기가 힘듭니다.
저위험의 HPV의 경우 심각한 건강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지만 고위험 HPV의 경우 자궁경부암을 포함한 다양한 암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HPV감염 검사를 진행하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또한 HPV로 인해 이미 자궁경부암이 진행된다면 질 출혈이 간헐적으로 발생하며, 질 분비물이 증가합니다. 또한 골반의 통증 및 다리 부종, 질 출혈로 인한 빈혈증세가 올 수 있습니다. 만약 이런 증상을 겪게 된다면 반드시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검사를 진행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갱년기와 골다공증, 영양제 선택기준 (0) | 2023.01.26 |
---|---|
헛개나무열매의 숙취개선효능 사실일까? (0) | 2023.01.25 |
자고 일어나면 식은땀, 도한증 원인과 완화방법 (0) | 2023.01.15 |
담배 끊는 법, 금연 팁, 금연 후기, 전자 담배로 갈아타면? (0) | 2023.01.12 |
금연 약 챔픽스 효과 및 부작용, 챔픽스 후기 (0) | 2023.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