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좋은 단백질 식품의 기준, 동물성과 식물성 단백질 차이점 및 비율

HOIKUI 2023. 2. 11. 02:16
반응형

좋은 단백질 식품의 기준, 동물성과 식물성 단백질 차이점 및 비율

 

 

 

20~30대 중 많은 사람들이 헬스와 보디빌딩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데요, 헬스장에 방문하면 남녀를 불문하고 목표를 가지고 열심히 운동하는 모습이 정말 멋있었던 것 같습니다.

 

 

근육을 만드는 데 있어서 중요한 것이 운동이라는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입니다. 하지만 운동만큼 중요한 것은 충분한 영양소 섭취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는 그 많은 영양분 중 단백질을 충분한 양으로 섭취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근합성에는 단백질이 필요하고, 근육을 유지하는데 있어서도 단백질이 필요합니다. 질 좋은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한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을 대조한 실험에서, 단백질 섭취가 부실한 그룹은 근성장이 더딘 것으로 나타났고, 그중 고령자는 근육노쇠의 위험이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나이에 불문하고 좋은 단백질 식품을 충분히 섭취해 주는 것은 건강에 있어서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는데요, 그런 이유로 오늘 포스팅은 좋은 단백질 식품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좋은 단백질 식품의 기준

 

단백질은 여러 아미노산의 펩타이드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신체를 구성하는 아미노산은 총 20가지로, 그중 8가지는 필수 아미노산에 속합니다.

 

 

필수 아미노산은 우리 몸에서 합성하기가 힘들거나, 합성이 불가능한 아미노산을 뜻합니다. 필수 아미노산 종류는 발린, 류신, 이소류신, 메티오닌, 트레오닌, 라이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으로, 유아의 경우 히스티딘과 아르기닌도 필수 아미노산으로 취급됩니다.

 

 

필수 아미노산은 생명활동에 반드시 필요한 것이 반해 체내에서 합성할 수 없으므로 식품으로 섭취해야 합니다. 고로 좋은 단백질 식품은 이러한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하게 함유된 식품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

 

 

닭고기, 돼지고기, 쇠고기, 생선과 같은 동물성 단백질 식품은 지방 함량이 높지만 필수 아미노산을 비롯한 풍부한 영양분을 함유합니다. 동물성 단백질은 식물성 보다 체내 흡수가 잘 되고 이용 효율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콩을 이용한 식품(두부, 유부, 두유, 청국장 등)과 견과류 같은 식물성 단백질 식품은 필수 아미노산은 동물성 단백질 식품보다 적게 함유하지만 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고, 소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식이섬유가 풍부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국 영양학 저널에 투고된 내용에 따르면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의 비율이 3:7일 때 가장 좋은 효율을 보인다고 합니다. 그 정도는 심지어 동물성을 100%로 섭취했을 때 보다 효율이 좋다고 합니다.

 

 

 

반응형

 

 

좋은 단백질 식품

 

 

동물성 단백질 식품(육류의 경우 지방함량이 낮을수록 좋은 식품)

 

●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치즈, 달걀, 칠면조, 생선

 

 

식물성 단백질 식품

 

● 견과류, 씨앗류, 콩 및 콩을 이용한 식품(두부, 유부, 두유, 청국장 등), 전곡류

 

 

 

단백질 섭취량의 경우 일반적으로 체중 kg당 0.8g으로 권장하고 있습니다. 생각보다 적은 양이라고 생각되는 이유는 단백질 대사가 간과 신장에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고령자나 근비대를 원하는 분들은 단백질을 권장량보다 많이 섭취하는 것을 권유드리지만, 반드시 섭취 전 간과 신장기능에 이상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의사와 상담한 뒤 단백질 섭취량을 조절하시는 것을 추천드리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