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WPC? WPI? 유청단백질 종류와 특징 및 차이점 후기

HOIKUI 2023. 2. 10. 00:25
반응형

WPC? WPI? 유청단백질의 종류와 차이점 후기

 

 

 

몸을 만드는 데 있어서 충분한 단백질 섭취는 필수적인데요, 사실 이런 사실을 몰라서 충분한 단백질 섭취를 안 하는 분들 보다는 챙겨 먹기 어려운 현실적인 문제 때문에 못 하는 분들이 훨씬 많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런 사람들을 위한 선택지로 시중에 여러 단백질 보충제가 판매되고 있습니다. 처음 단백질 보충제를 보시는 분들은 어떤 보충제를 먹어야 좋을지, 각 보충제마다 차이는 무엇인지 헷갈리는 점들이 한두 가지가 아닐 것 같습니다.

 

 

시중에서 판매되는 보충제 중 대부분이 유청단백질을 이용하여 제조되는데요, 유청단백질을 이용하여 만든 단백질 보충제는 공정 방법에 따라서 WPC와 WPI, WPH로 종류가 나뉘게 됩니다. 오늘 알아볼 주제는 이러한 유청단백질의 종류와 차이점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청단백질이란?

 

 

반응형

 

 

유청이란 우유를 치즈를 만들 때 생성되는 황록색 액체입니다. 옛날에는 사료용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유청에서 단백질만을 분리한 유청단백질은 만드는 원료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유청에서 단백질을 분리한 것을 유청단백질이라고 하며, 유청단백질에는 여러 가지 단백질이 집합되어 있습니다. 주된 단백질은 알파-락트알부민(α-La), 베타-락토글로불린(β-LG)으로, 이 두 가지 성분이 유청단백질의 70~8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알파-락트알부민은 유청단백질에서 약 20% 비율을 차지하며, 필수 아미노산 중 트립토판을 많이 함유하고 있습니다. 트립토판은 뇌의 세로토닌 합성 전구체로써, 알파-락트알부민의 섭취는 스트레스 해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베타-락토글로불린은 유청단백질에서 약 50% 비율을 차지하며, 혈중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WPC(Whey Protein Concentrate)

 

 

WPC는 농축유청단백질을 뜻하며, 필터를 이용한 기본적인 공정만을 거친 유청단백질입니다.

 

 

단백질의 함량은 공정 방법에 따라서 30~80%가량이며, 단백질 함량에 따라 WPC 34(34%), WPC 50(50%), WPC 60, 75, 80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단백질 보충제에 사용되는 WPC는 WPC 80이며 약 80%의 단백질과 약 6%의 유당 및 4%가량의 무기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WPC의 주된 특징은 유당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유당불내증을 가진 사람이 복용 시 설사나 복통 같은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WPI(Whey Protein Isolate)

 

 

반응형

 

 

WPI는 분리유청단백질을 뜻하며 WPC의 제조공정에 추가로 이온교환 혹은 마이크로 필터링을 거쳐 만들어집니다. 제품명 + 아이솔레이트라고 부르는 게 일반적인 것 같습니다.

 

 

추가 공정덕에 기존 80%를 웃도는 단백질 함량을 많게는 90%가량까지 끌어올린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대부분의 유당도 공정과정 중 제거되기 때문에 유당불내증을 가진 사람도 섭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기존 WPC에 비하여 대다수의 지방성분이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율이 WPC보다 빠르다는 장점 또한 가지고 있습니다.

 

 

WPC보다 추가 공정과정이 필요하다 보니 가격은 WPC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WPH(Whey Protein Hydrolyzed)

 

 

WPH는 가수분해 유청단백질을 뜻합니다. 기존 WPC나 WPI에서 단백질 가수분해 과정을 더 거친 유청단백질입니다.

 

 

단백질을 가수분해하면 폴리펩타이드사슬이 더 작은 폴리펩타이드 혹은 그것의 단위체인 아미노산까지 분해가 됩니다. 소화가 다른 유청단백질에 비해 잘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흡수 또한 더 잘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WPC보다 추가적인 공정과정을 거쳤으므로 WPC보다 비싼 가격을 형성하며, WPC를 가수분해 했느냐, WPI를 가수분해 했느냐에 따라 가격이 다를 것입니다.

 

 

 

반응형

 

 

WPC, WPI, WPH 구매 후기

저 또한 꾸준히 운동하는 헬린이 중 한 명이고 마x프로틴 WPC, WPI, WPH 모든 제품군을 먹어보면서 실제로 차이가 느껴지는지 기록했었습니다. 유당불내증을 가지고 있지 않아서 유당 유무에 대한 큰 차이는 못 느꼈지만 WPC를 먹을 땐 평소보다 피부 트러블이 많이 생겼던 경험을 했습니다.

WPC에서 WPI로 바꾸고 난 뒤에는 피부트러블이 눈에 띄게 줄어들었는데요, 피부트러블은 원인이 정말 많지만 유당 때문일 수도 있다고 하네요, 복통이나 설사증상은 없었는데 알고 보니 유당불내증이 있었던 걸까요.. 아무튼 그 후로 WPC는 구매하지 않고 있습니다.

WPH는 가격도 가격이지만 제가 먹었던 제품은 "무"맛이어서 먹기가 고통스러웠던 기억밖에 없네요, 흡수나 소화는 제가 체감하기 힘들기도 하고, WPI와 별다른 차이점은 못 느꼈습니다.

제 기준에선 유당불내증이 있건 없건 WPI를 구매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단백질 함량이 더 많기 때문에.. ㅎㅎ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