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인 효과, 지속시간, 과다복용 주의점 완벽정리

바쁜 직장인이라면 매일 적정 수면시간을 충족시켜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하루 이틀 바쁜 생활 속에 살다 보면 수면부족 및 피로가 쌓이게 되는데요, 이를 바로바로 해소해 줄 수 있으면 좋겠지만 그러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 같습니다. 몸이 힘들어도 업무는 해야 하니, 졸음을 쫓고, 피로를 해소하고자 커피나 에너지드링크로 카페인을 섭취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오늘은 이 카페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카페인의 효과

카페인은 우리 몸의 아데노신이라는 화합물과 비슷한 구조를 지니고 있습니다. 하나의 가지에 오탄당이 달린 모양을 하고 있지요. 우리 몸에서 아데노신은 뇌에서 아데노신 수용체와 결합하게 되면 졸음을 유발합니다.
아데노신과 비슷한 구조를 하고 있는 카페인은 아데노신의 경쟁적 억제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아데노신 수용체에 결합하여 본래 아데노신이 수용체에 결합할 때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저해하게 됩니다.
즉, 카페인은 졸음을 일으키는 물질이 수용체에 결합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뇌가 각성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효과를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카페인은 신장에서 수분 재흡수를 감소시킵니다. 수분 재흡수는 우리 몸이 섭취한 수분을 한번 사용 후 배설하지 않고 다시 한번 흡수하여 물을 재활용하는 개념입니다. 이러한 수분 재흡수가 카페인에 의하여 억제된다면 소변 생성량이 증가하며, 화장실에 자주 가고 싶은 빈뇨감을 유발합니다.
카페인의 지속시간 및 반감기
카페인은 수용성 성질과 지용성 성질 모두 가지고 있는 화합물로써, 양친매성 물질로 불립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체내 흡수가 매우 빠른 편이며 섭취 후 1시간 안에 거의 모든 양이 흡수 될 정도입니다.
카페인 반감기는 몸에서 카페인 양이 반절로 줄어드는 시간을 뜻합니다. 카페인 반감기는 약 4시간으로, 100mg의 카페인을 섭취했을 때 4시간 정도 후면 체내 카페인 양이 50mg이 된다는 것이지요. 물론 이는 개인마다 차이가 있으며 나이와 간 기능, 대사에 사용되는 효소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카페인의 뇌 각성 지속시간은 섭취한 양에 따라 달렸습니다. 과량을 섭취할 경우 적게 섭취한 사람보다 각성 시간이 길어지게 되며, 약 48시간 후면 섭취한 양과 큰 상관없이 거의 모든 양이 체외로 배출됩니다.
보통 커피 한잔 정도(카페인 약 100mg)의 카페인의 각성 지속시간은 5~6시간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앞서 설명드렸듯, 개인차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카페인 부작용, 과다복용 주의
카페인의 하루 권장량은 커피 4잔 정도인 400mg 이하입니다. 커피를 제외하더라도 코코아가루가 포함된 과자나 아이스크림, 음료에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고, 많은 제품이 카페인 함량을 미표기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권장량보다 덜 섭취하려고 노력해야 할 것 같습니다.
카페인의 대표적인 부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두통 및 식은땀
2. 심박수 상승 및 혈압 증가
3. 구토 및 메스꺼움
4. 수면장애
5. 잦은 배뇨 및 빈뇨감
6. 기분장애(조울증) 및 신경과민
생각보다 많은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이 밖에도 자잘한 부작용들을 생각하면 커피를 끊어야 하나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다행히도 부작용들 중 대부분은 커피 한두 잔이 아닌, 카페인을 과량 섭취하였을 때 나타나는 증상이며, 정상적인 신체기능을 가진 사람이라면 권장량 이상의 카페인을 오랜 기간 섭취 하였을 때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다만 부작용이 여러 기관에 미칠 수 있고, 정도가 가볍지 않다는 것을 고려하면 카페인 중독을 조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카페인은 꾸준히 섭취 시 내성이 생기고 섭취량이 점점 늘면서 중독될 수 있습니다. 커피 없이 보내는 하루가 유독 힘이 드시다면 점차 줄여나갈 것을 권장드립니다.
또한 미성년자나 임산부의 경우 카페인의 하루 권장량은 각각 150mg, 300mg입니다. 임산부의 경우 카페인 섭취 시 유산 확률이 증가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니 특히 주의하시길 바라며, 되도록 섭취 전 의사와 상담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WPC? WPI? 유청단백질 종류와 특징 및 차이점 후기 (1) | 2023.02.10 |
---|---|
좋은 탄수화물이란? 좋은 탄수화물 식품 (0) | 2023.02.09 |
식사 후 졸린이유, 식곤증 원인과 완화방법 (0) | 2023.02.03 |
약 유효기간, 유통기한 지난 약 먹어도 될까? (0) | 2023.02.02 |
밤낮이 바뀌면 생기는 신체변화 (0) | 2023.02.01 |